로그인

검색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말의 승부에서 우리는 졌다
하지만 우리는 지금이
근성을 보여줄 적기라고 생각한다.

쉽게 제압하기에는
회사는 너무
똑똑하고 깨어있는 인재들을 뽑아놨다















2012.04.12 01:16

그래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는 누구를 위해 싸운 것인가
독재정권 지지자들?

그들만의 리그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끊고
다시 현실세계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하루종일
따뜻한 햇볕 이야기와
좋은 날씨
예쁜 서랍장 이야기들 뿐이다.

나에겐 전쟁같은 하루하루가
그 누구에겐가는
속된 세상사로 들릴 뿐인듯

허무하고
서운하다













2012.04.08 08:18

형형색색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누군가는

남루한 꿈을

그래도 이끌고 간다

-베트남에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0년전.
그건 마치 히피문화 같은 것이었다.

경직되고 엄숙한 척하지만
부도덕하고 잔혹했던 기득권층에 대한
시원한 일갈 같은 것이었다.

사회는 답답했고
그렇게 자극적으로 말하지 않으면
누구도 들어주지 않았던 시대.
미디어는 가식적이었고
사람들은 보다 넓은 자유를 원했던.

몇몇 사람들은
끝까지 가보고 싶었고 실제로 질주했다.

부당한 권위에 의해
CTS PD자리에서 물러난
김용민에게 그런 갈증은 더욱 심했을 것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도 많았고
알수 없는 공허함은, 여전하다는 것 깨달았을 때
히피 같은 인터넷 문화는 그렇게 사라졌다.  





10년이 지난 지금,
인터넷 히피세대가 이 사회에
어떤 식으로 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지
그는 몸소 보여줬다고 생각한다.



마이너에서 메이저로 가는 길목
성장통을 겪고 있을 김용민에게
나는 여전한, 병신같은 지지를 보낸다.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459 Next
/ 459